
‘4인 가족 100만원’ 제주 3년 만에 민생회복지원금
정부 2차 추경안 19일 국무회의 의결
일반 1인당 25만원 제주 1500억 상당
이재명 정부가 모든 국민에 민생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제주에서도 3년 만에 코로나19 지원금에 버금가는 현금성 예산 지원이 이뤄진다.
이재명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를 열어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포함해
총 20조원 규모의 정부 2차 추경안을 심의 의결했다.
민생회복지원금은 침체 된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지원금이다.
정부는 빠른 소비 진작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국민에게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일반국민은 1인당 25만원, 소득 상위 10%는 15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50만원,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4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일반소득 가정의 경우 4인 가족을 기준으로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전체 지급대상은 5117만명이다. 총 지급액은 13조2000억원, 이중 10조3000억원이 국비다.
제주의 경우 전체 지급대상은 69만여명, 예상 지급액은 1475억원 상당이다.
지급수단은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이다. 일부 취약계층은 다른 지급 방식이 적용된다.
코로나19 이후 전 도민 대상 지원금 집행은 이번이 4번째다.
2020년 5월에는 ‘긴급재난지원금’ 명목으로 1인 40만원, 2인 60만원, 3인 80만원 4인 가구는 100만원을 지원했다.
그해 7월에는 제주도 예산을 투입해 1인당 10만원씩 ‘제주형 재난기급생활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했다.
2022년 8월에도 ‘재난긴급생활지원금’ 명목으로 1인당 10만원씩을 지원했다.
3년 전 전도민 지원금은 총 650억원이었다. 당시 집행률은 95.05%에 달했다.
이를 적용하면 이번 지원금으로 제주에서만 1500억원 상당의 소비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국무회의를 통과한 추경안을 23일쯤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추경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이르면 7월, 늦어도 8월부터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출처 : 제주의소리(https://www.jejusori.net)
‘4인 가족 100만원’ 제주 3년 만에 민생회복지원금
정부 2차 추경안 19일 국무회의 의결
일반 1인당 25만원 제주 1500억 상당
이재명 정부가 모든 국민에 민생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제주에서도 3년 만에 코로나19 지원금에 버금가는 현금성 예산 지원이 이뤄진다.
이재명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를 열어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포함해
총 20조원 규모의 정부 2차 추경안을 심의 의결했다.
민생회복지원금은 침체 된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지원금이다.
정부는 빠른 소비 진작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국민에게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일반국민은 1인당 25만원, 소득 상위 10%는 15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50만원,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4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일반소득 가정의 경우 4인 가족을 기준으로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전체 지급대상은 5117만명이다. 총 지급액은 13조2000억원, 이중 10조3000억원이 국비다.
제주의 경우 전체 지급대상은 69만여명, 예상 지급액은 1475억원 상당이다.
지급수단은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이다. 일부 취약계층은 다른 지급 방식이 적용된다.
코로나19 이후 전 도민 대상 지원금 집행은 이번이 4번째다.
2020년 5월에는 ‘긴급재난지원금’ 명목으로 1인 40만원, 2인 60만원, 3인 80만원 4인 가구는 100만원을 지원했다.
그해 7월에는 제주도 예산을 투입해 1인당 10만원씩 ‘제주형 재난기급생활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했다.
2022년 8월에도 ‘재난긴급생활지원금’ 명목으로 1인당 10만원씩을 지원했다.
3년 전 전도민 지원금은 총 650억원이었다. 당시 집행률은 95.05%에 달했다.
이를 적용하면 이번 지원금으로 제주에서만 1500억원 상당의 소비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국무회의를 통과한 추경안을 23일쯤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추경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이르면 7월, 늦어도 8월부터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출처 : 제주의소리(https://www.jejuso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