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청소년 오는 8월부터 버스요금 무료
도-교육청 협의 중…통학·일상 이동 지원
7월까지 교통복지카드 발급 계획
제주지역 청소년들은 오는 8월부터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도는 오는 7월까지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에 필요한
제주교통복지카드 발급을 마무리하고, 8월부터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발급 대상은 만 13세부터 18세까지다. 현재 제주지역 청소년 버스요금은 850원이다.
이번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 이용 정책은 강경문 도의원이 지난 7일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화를 제안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도는 도교육청과 세부 내용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광역지자체에서는 전국 최초로 청소년 버스 요금 무료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라면서
“교육청과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청소년용 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도교육청이 버스를 타고 다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통학지원금 80억,
도가 농업인 자녀에 대해 지원하는 통학지원비 17억원 등을 합친 97억원이면
이 사업을 무리 없이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재원 부담 근거를 뒷받침할 ‘공영버스운송사업 지방직영기업 설치․운영조례’ 개정도 추진한다.
그동안 제주에서 청소년에 대한 버스비 지원은 통학 목적에 한정돼 있었다.
이번 정책 시행으로 청소년들은 학원 이동과 같은 일상적인 교통 요금도 지원 받을 수 있게 된다.
지원 정책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제주에서는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6~12세 어린이에게
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해 공항 리무진과 급행버스를 제외한 일반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는 8월부터 적용될 청소년(4만2000명)까지 포함하면
전체 제주도민의 36%가 버스 요금 면제 지원을 받을 것으로 추산된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은 청소년들의 이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의미 있는 변화”라면서
“이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khan.co.kr/
제주 청소년 오는 8월부터 버스요금 무료
도-교육청 협의 중…통학·일상 이동 지원
7월까지 교통복지카드 발급 계획
제주지역 청소년들은 오는 8월부터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도는 오는 7월까지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에 필요한
제주교통복지카드 발급을 마무리하고, 8월부터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발급 대상은 만 13세부터 18세까지다. 현재 제주지역 청소년 버스요금은 850원이다.
이번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 이용 정책은 강경문 도의원이 지난 7일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화를 제안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도는 도교육청과 세부 내용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광역지자체에서는 전국 최초로 청소년 버스 요금 무료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라면서
“교육청과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청소년용 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도교육청이 버스를 타고 다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통학지원금 80억,
도가 농업인 자녀에 대해 지원하는 통학지원비 17억원 등을 합친 97억원이면
이 사업을 무리 없이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재원 부담 근거를 뒷받침할 ‘공영버스운송사업 지방직영기업 설치․운영조례’ 개정도 추진한다.
그동안 제주에서 청소년에 대한 버스비 지원은 통학 목적에 한정돼 있었다.
이번 정책 시행으로 청소년들은 학원 이동과 같은 일상적인 교통 요금도 지원 받을 수 있게 된다.
지원 정책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제주에서는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6~12세 어린이에게
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해 공항 리무진과 급행버스를 제외한 일반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는 8월부터 적용될 청소년(4만2000명)까지 포함하면
전체 제주도민의 36%가 버스 요금 면제 지원을 받을 것으로 추산된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은 청소년들의 이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의미 있는 변화”라면서
“이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khan.co.kr/